많은 분들께서 농지 양도소득세율에 대해서 궁금해하시고 또 많이 찾아보십니다.
하지만 농지 양도소득세율과 관련된 내용들은 쉽게 찾아볼 수 없는데요.
보통 양도소득세 자체가 우리가 살면서 꼭 한번은 대금을 청산하게 되는 그런 세금입니다만,
보통 그런 기회가 빈번하게 일어나지는 않습니다.
많고 많은 양도소득세 중 농지 양도소득세는 더욱 더 그렇습니다.
이 글에서는 농지 양도소득세율과 관련된 내용들을 알아볼 것입니다.
이 글을 끝까지 읽으신다면 농지 양도소득세율과 관련된 내용들을 명확하게 얻어가실 수 있으실 것입니다.
양도소득세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을 알아보는 것은 큰 도움이 됩니다.
1. 양도소득세 매도인이 부담하는 세금
먼저 양도소득세에 대한 개념을 간략하게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양도소득세란 자산의 양도로 인해 발생하는 소득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따라서 매수인이 아닌 매도인이 부담하는 세금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2. 농지 양도소득세율
농지 양도소득세율은 비사업용토지와 사업용토지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먼저 비사업용 토지의 양도소득세율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비사업용토지 양도소득세율
정부에서는 비사업용 토지에 대해서는 상당히 박한 견해와 세법을 적용하고 있는것이 사실입니다.
실수요로 판단하지 않고 주리 재산증식수단의 투기적 성격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2) 사업용토지 양도소득세율
토지에 대한 양도소득세율은 비사업용이냐 사업용이냐에 따라 크게 갈립니다.
앞서 말씀드렸듯 비사업용 토지는 투기의 성격으로 보아 과세적용을 중과세합니다.
그럼 보유기간과 과세표준에 따른 양도소득세율에 대한 표를 보겠습니다.
보유기간 | 과세표준 | 사업용토지 | 누진공제 |
1년 미만 | - | 50% | - |
1년~2년 미만 | 40% | - | |
2년 이상 | 1,200만원 이하 | 6% | - |
1,200만원 초과 4,600만원 이하 |
15% | 108만원 | |
4,600만원 초과 8,800만원 이하 |
24% | 522만원 | |
8,800만원 초과 1억 5,000만원 이하 |
35% | 1,490만원 | |
1억 5,000만원 초과 3억원 이하 |
38% | 1,940만원 | |
3억원 초과 5억원 이하 |
40% | 2,440만원 | |
5억원 초과 | 42% | 3,540만원 |
보통 일반적으로 사업용토지에 대한 토지 양도소득세율이
비사업용보다 10% 낮습니다.
이렇게 토지 양도소득세율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토지 양도세에 대해서 알아보았으니 양도소득세 계산 방법에 대한 정보를 찾아보는것은 큰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