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법중 꼭 알아야하는 과세 대상이 법인세 과세대상입니다.
법인세율은 법인의 소득 금액 등에 과세표준대로 부과되는 세금을 뜻합니다.
법인. 즉 , 회사 등이 얻는 소득에 따른 세금입니다.
국내에 사업의 실질적 관리장소를 둔 법인에게 과세하는 세금으로
국내외 발생하는 모든 소득에 대해 법인세 납세의무가 있습니다.
정부는 2019년 12월 24일 개최된 국회 의회에서 소득세법 법인세법 조세특례제한법을 발의한 바 있습니다.
그래서 올해 새롭게 적용된 법인세율에 대해서 꼼꼼하게 최신정보를 알아야 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이 글을 끝까지 읽으신다면 2020년 법인세율에 대한 정보와
법인세율에 대한 꿀팁등을 알아가실 수 있으실 것입니다.
법인세율 뿐만 아닌 법인세 계산방법등 여러가지 정보들을 알아보시는것은 절세에 도움이 됩니다.
법인세율을 연도별 세목별 세율이 다르므로 연도별 세목별로 세율을 알아보겠습니다.
1. 2020년 법인세율
적용법인 |
과세표준 |
세율 (%) |
영리 및 비영리법인 |
2억원 이하 |
10% |
2억원 초과 |
20% |
|
200억원 초과 |
22% |
|
3,000억원 초과 |
25% |
|
당기순이익 과세법인 |
20억원 이하 |
9% |
20억원 초과 |
12% |
2020년 법인세율은 2019년 2018년과 마찬가지로 법인세율에 변화가 없습니다.
법인세율과 관련해서는 꾸준히 법인세율 과세표준 구간을 현행 4개에서 2개로 단순화하고
세율을 인하하자는 목소리가 계속 커지고 있으나 정부에서는 법인세율 개편 계획이 없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2. 소득세율
법인세율에 따른 법인세를 계산할 때 소득세율 또한 알고있는것이 도움이 됩니다.
나중에 총 법인세를 계산할 때 법인세율과 곱해지는 과세표준을 구해야합니다.
과세표준을 구할려면 소득금액과 이월결손금,비과세소득,소득공제등을 알아야합니다.
또한 마지막 법인세를 계산할떄 법인세율과 과세표준을 곱한 값에서 누진공제액을 뺀 값이
총 법인세가 되기 때문에 소득세율에 관한 부분도 숙지하고 있어야 합니다.
과세표준 | 세 율 (%) | 누진공제액 |
1천200만원 이하 | 6% | 0 |
1천200만원 초과 4천600만원 이하 |
15% | 1,080,000 |
4천600만원 초과 8천800만원 이하 |
24% | 5,220,000 |
8천800만원 초과 1억5천만원 이하 |
35% | 14,900,000 |
1억5천만원 초과 3억원 이하 |
38% | 19,400,000 |
3억원 초과 5억원 이하 |
40% | 25,400,000 |
5억원 초과 | 42% | 35,400,000 |
3. 상속세와 증여세율
상속세와 증여세율에 대한 내용도 알고있다면 도움이 됩니다.
이는 총 법인세를 구할 때 과세표준과 법인세율을 곱한 값에서 누진공제액을 빼야하기 때문입니다.
과세표준 | 세 율 (%) | 누진공제액 |
1억 이하 | 10 | - |
1억 초과, 5억 이하 | 20 | 1천만원 |
5억 초과, 10억 이하 | 30 | 6천만원 |
10억 초과, 30억 이하 | 40 | 1억 6천만원 |
30억 초과 | 50 | 4억 6천만원 |
4. 법인세 계산방법
과세표준 = 소득금액 - (이월결손금 + 비과세소득 + 소득공제액)
산출세액 = 과세표준 x 법인세율
총 부담세액 = 산출세액 - (세액공제 + 세액감면)
앞서 언급했듯이
우리가 내야할 총 법인세는 과세표준 x 법인세율 - 누진공제액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법인세 계산에 대한 여러가지 정보들을 알고있는것은 법인세 계산에 도움이 됩니다.
5. 법인세 신고기한
법인세율도 알아보았고
법인세율에 따른 법인세 계산방법도 알았으니
법인세 신고기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결산 날짜 | 신고기한 |
12월 말 결산법인 | 3월 31일 |
3월 말 결산법인 | 6월 30일 |
6월 말 결산법인 | 9월 30일 |
9월 말 결산법인 | 12월 31일 |
법인세 신고기간은 결산법인 날짜에 따라 다르며
결산 날짜 달의 말일부터 3개월 이내에 해당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