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는 지방에 거주하는 자가 부과된 지방세가 세부적으로 과세되었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서식입니다. 지방세는 종류에 따라 주민세,재산세,자동차세등 여러가지로 나뉩니다.
해당 증명서를 통해 부과된 지방세 과세내역을 확인하고 체납 혹은 완납여부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지방세세목별 과세증명서는 그 용도가 다양합니다.
금융기관의 대출이나 취업,그리고 경우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필요하지않아도 확인해 주는것이 좋은것이 본인 재산의 세금납부 사실을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미납금을 꼬박꼬박 확인하는 것은 불성실납부에 의한 가산세를 면할 수 있습니다.
절세의 요령으로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를 꾸준히 확인하는 것이 그 요령중 하나가 될 수 있으며,
좋은습관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그렇다면 이 지방세세목별 과세증명서 어떻게 발급받을 수 있을까요?
지방세세목별 과세증명서를 발급받을 수 있는 방법으로는 세무서 방문을 통한 방법이 있으며,
그보다 더 쉬운방법으로 인터넷발급방법을 꼽을 수 있겠습니다.
이 글에서는 지방세세목별 과세증명서 인터넷발급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 글을 끝까지 읽으신다면 지방세세목별 과세증명서 인터넷발급과 관련하여 어려움이 없으실 것입니다.
지방세세목별 과세증명서를 인터넷발급 할 수 있는 사이트는 많습니다.(ex. 민원24,정부24,홈택스)
지방세세목별 과세증명서를 인터넷발급할 수 있는 다양한 사이트를 알고 있는것은 큰 도움이 됩니다.
1.정부24를 통한 지방세세목별 과세증명서 인터넷발급 방법
(1) 정부24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홈 화면서 '세목별과세증명'을 검색합니다.
(2) 신청하기를 클릭합니다.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에 대한 세부적인 옵션을 확인합니다.
주의사항으로는 공인인증서가 있어야 신청가능하며,
인터넷으로 본 증명서를 발급받는 과정에서 위조 및 변조 하는 행위는
형법에 따라 10년 이하의 징역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온라인에서는 1개 시군구 단위로 발급이 가능하며,
2개 이상의 시군구의 과세내역이 병행표기된 증명서는 가까운 시청,군청,구청 또는 주민센터에 방문하여 발급합니다.
(3) 필요한 내용들을 작성합니다. 신청내용과 주소지 개인 인적 사항들을 작성합니다.
(4) 발급방법을 상호명과 영업종목을 선택하고 선택합니다.
(5) 민원신청하기를 클릭하면 프린터창이 뜨고 프린터기로 프린트 하고 나면 발급이 끝납니다.
이로써 지방세세목별 과세증명서 인터넷발급방법은 끝이났습니다.
3. 지방세 세목별 과세 증명서 서식
지방세세목별 과세증명서를 발급받기 전 지방세세목별 과세증명서의 서식을 확인해주는것은 큰 도움이 됩니다.
각기다른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지방세세목별 과세증명서의 서식이 다를 수 있습니다.
주로 공공기관에서 발급해주는 지방세세목별 과세증명서를 참고하여 비교해보는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지방세세목별 과세증명서 인터넷발급 방법과 용도 그리고 서식등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겠습니다.
댓글